반응형
mount
1.설명
- 특정 디바이스를 특정 디렉터리처럼 사용하기 위해 장치와 디렉터리를 연결하는 명령어
- 리눅스에서 pnp를 지원하는 하드웨어가 많지 않아 수동으로 마운트 사용
- 파일 /etc/mtab에서 현재 마운트된 블록 시스템 정보 및 마운트 정보 확인
- 시스템 부팅 시에는 파일 /etc/fstab에서 마운트 정보를 참조
2. 형식
- mount [옵션] [디바이스명] [디렉터리명]
3.옵션
옵션 | 설명 | ||
-a | /etc/fstab 파일에 정의된 모든 시스템 마운트 | ||
-n | /etc/mtab 파일에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마운트 | ||
-f | 실제 마운트하는 것이 아니라 마운트 가능한지 테스트 | ||
-t | 파일 시스템 | vfat | 마이크로소프트 파일 시스템 FAT 32 마운트 |
ext2, ext3, ext4 | 리눅스 파일 시스템 마운트 | ||
iso9660 | CD_ROM or DVD 마운트 | ||
smbfs | 삼바 파일 시스템 마운트 | ||
nfs |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공유 영역 마운트 | ||
-o | 추가 설정 | ro | 읽기 전용 마운트 |
rw | 읽기/쓰기 모드 마운트 | ||
loop | Loop 디바이스 or CD_ROM 이미지 파일 iso 마운트 | ||
remount | 파티션 재마운트 | ||
noatime | 파일이 변경되기 전까지 access time이 변경X | ||
sync | 파일 시스템에 대한 입출력 동기화 | ||
user | 일반 사용자가 마운트 |
umount
1.설명
- 마운트 해제 명령어
2. 형식
- umountt [옵션] [디바이스명] [디렉터리명]
3. 옵션
옵션 | 설명 |
-a | 파일 /etc/mtab에 명시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해제 |
-n | 파일 /etc/mtab 파일을 갱신하지 않고 마운트 해제 |
-f | 언마운트할 파일 시스템 지정 |
eject
1.설명
- 이동식 보조 기억장치(DVD or CD_ROM)과 같은 미디어 해제 및 장치 제거 명령어
2. 형식
- ejectt [옵션] [디바이스명]
3.옵션
옵션 | 설명 |
-r | 시디롬 마운트 해제 |
-f | 플로피 마운트 해제 |
fdisk
1.설명
- 새로운 파티션의 생성, 기존 파티션 삭제 및 타입 결정 작업 명령어
- fdisk 프로그램은 한 번에 한 디스크에 대해서만 작업 수행
- 어떠한 디스크의 파티션을 나눌 것인지 알려줘야 함 (하나의 컴퓨터에 여러개의 하드디스크가 설치될 수 있어서)
- 즉, 디스크를 파이션으로 나눠주는 도구
2. 형식
- fdisk [옵션] [장치명]
3. 명령어
명령어 | 설명 |
-v | fdisk 버전 정보 출력 |
-l | 현재 디스크의 파티션 테이블 정보 출력 |
-s | 지정된 파티션의 크기를 블록 단위로 출력 |
p | 디스크 정보 표시 |
n | 파티션 생성 |
t | 파티션 속성 지정 |
d | 파티션 삭제 |
w | 변경된 파티션 정보 저장 |
q | 파티션 설정 작업 종료 |
4. 예제
- 새로운 디스크 /dev/sdb를 연결했는데, 아직 사용 가능하도록 파티션이 설정되지 않았습니다. 이 디스크에 500MB 크기의 새 파티션을 생성하고, 해당 파티션을 **Linux 파일 시스템(83)**으로 설정한 뒤 저장하시오.
- 1.현재 디스크와 파티션 상태 확인
- 입력 : $ sudo fdisk -l
- 출력 :
Disk /dev/sda: 20 GiB, 21474836480 bytes, 41943040 sectors
Disk /dev/sdb: 10 GiB, 10737418240 bytes, 20971520 sectors
- 2. 현재 디스크의 파티션 상태 확인
- 입력 :
$ sudo fdisk /dev/sdb
$ Command (m for help): p - 출력 :
Disk /dev/sdb: 10 GiB, 10737418240 bytes, 20971520 sectors
Disklabel type: dos
Disk identifier: 0x12345678
Device Boot Start End Sectors Size Id Type
- 입력 :
- 3. 새 파티션 생성
- 입력 :
$ Command (m for help): n - 출력 :
Partition type:
p primary (0 primary, 0 extended, 4 free)
e extended
Select (default p): p
Partition number (1-4, default 1): 1
First sector (2048-20971519, default 2048):
Last sector, +/-sectors or +/-size{K,M,G,T,P} (2048-20971519, default 20971519): +500M - 설명
- 새로 Primary 파티션(기본값) 선택
- 파티션 번호 "1"
- 시작 섹터는 기본값, 끝 섹터는 +500MB 크기로 설정
- 입력 :
- 1.현재 디스크와 파티션 상태 확인
- 4. 파티션 유형 설정
- 입력 :
$ Command (m for help): t - 출력 :
Selected partition 1
Hex code (type L to list all): 83 - 설명
- 파티션 1을 지정
- 83을 입력해 Linux 파일 시스템 유형으로 지정
- 입력 :
- 5. 작업 저장
- 입력 :
$ Command (m for help): w - 출력 :
The partition table has been altered.
Calling ioctl() to re-read partition table.
Syncing disks. - 설명
- 지금까지의 작업 내용 저장 후 fdisk 종료
- 입력 :
- 6. 결과 확인
- 입력 : $ sudo fdisk -l
- 출력 :
Disk /dev/sdb: 10 GiB, 10737418240 bytes, 20971520 sectors
Device Boot Start End Sectors Size Id Type
/dev/sdb1 2048 1026047 1024000 500M 83 Linux - 설명
- /dev/sdb1 파티션이 500MB 크기로 생성, 파일 시스템 유형이 Linux(83)으로 설정 확인
반응형
'리눅스 > 파일 시스템 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일 /etc/fstab 설명 (6) | 2025.01.11 |
---|---|
파일 시스템 관련 명령어(2) (2) | 2025.01.11 |
리눅스 전용 디스크 기반 파일 시스템 (2) | 2025.01.1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