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리눅스/파일 시스템 관리

파일 시스템 관련 명령어(2)

by Junior Devops Engineer 2025. 1. 11.
반응형

mkfs

1.설명

  • 리눅스 파일 시스템 생성 명령어 
  • fdisk로 하드디스크 파티션을 나눈 후 해당 파티션에 맞는 파일 시스템을 생성 

2. 형식

  • mkfs [옵션] 장치이름 

3. 옵션

옵션 설명
-V 자세한 정보 출력 
-t 파일 시스템  생성할 파일 시스템 타입(ext2, ext3, ext4) 지정 
-c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기 전에 배드블록(Bad Block) 검사
-l 파일명  지정된 파일명으로부터 배드블록(Bad Block) 목록 읽기 
-v 작업 상태와 결과 정보 출력 

mke2fs

1.설명

  • ext2, ext3, ext4 타입의 리눅스 파일 시스템 생성 명령어 
  • fdisk 명령어로 파티션 작업 후 mke2fs or mkfs 명령어로 파일 시스템 생성 

2. 형식

  • mke2fs [옵션] 장치명 

3. 옵션

옵션 설명
-t 파일 시스템 타입 지정(ext2, ext3, ext4)
-b 블록 크기를 바이트 수로 지정
-f 프래그먼트 크기 지정 
-i inode당 바이트 수 지정 
-j 파티션을 저널링 파일 시스템 ext3로 생성 
-R RAID4 장치 포맷시 사용하는 특수 옵션 
-R stripe은 RAID 장치에 적합한 데이터로 구조 저장

fsck

1.설명

  • 파일 시스템 무결성 점검 (대화식) 복구 명령어 

2. 점검 순서

  • 오류에 대한 저널 로그 점검 
  • i-node, 간접 테이블 블록, 데이터 블록, 메모리에 할당되지 않은 블록을 리스트화한 free-list를 점검 
  • 파일크기, 디렉터리 항목 점검 
    • 디렉터리 /lost+found는 fsck에서 사용하는 디렉터리 
    • 손상된 파일을 /lost+found 디렉터리로 연결 후 오류 수정 진행. 평상시엔 null파일 링크에 의해 빈 상태 
    • 디렉터리 /lost+found 에서 작업 수행 후 정상 복구가 완료되면 파일은 자동으로 제거됨 

3. 형식

  • fsck [옵션] 장치명 

4. 옵션

옵션 설명
-A /etc/fstab에 표시된 모든 파일 시스템 점검 
-a 질의하지 않고 자동 복구 
-r 질의를 한 후 복구 
-s fsck 동작을 시리얼화 함. 대화형 모드에서 여러 파일 시스템 점검 시 활용 
-t 파일 시스템 점검할 파일 시스템 유형 지정 

e2fsck

1.설명

  • ext2, ext3, ext4 타입의 리눅스 파일 시스템 점검 or 복구 명령어 

2. 형식 

  • e2fsck [옵션] [디바이스명] 

3. 옵션

옵션 설명
-p 파일 시스템 검사하면서 자동 복구 
-n 모든 질문에 대한 응답을 no (only check) 
-y 모든 질문에 대한 응답을 yes
-c BAD BLOCK를 체크 
-f 깨끗한 파일 시스템까지 강제적으로 검사 

du

1.설명

  • Disk Usage의 약자 
  • 디렉터리별 디스크 사용량 확인 

2. 형식

  • du [옵션] [파일 및 디렉터리명]

3.옵션

옵션 설명
-h 용량 단위(KB, MB, GB) 로 표시 
-a 디렉터리가 아닌 모든 파일에 대한 정보 출력  
-m 결과 값을 MB 단위로 출력 
-k 결과값을 KB 단위로 출력 
-s 사용량의 총 합계만 출력 
파일 전체 크기를 합한 값
-c 모든 파일의 디스크 사용 정보를 보여주고 합계도 함께 출력 

df

1.설명

  • 시스템에 마운트된 하드 디스크 용량을 파티션 단위로 사용량 확인 명령어
  • 기존 1,024Byte 블록 단위로 출력 

2. 형식

  • df [옵션] [파일명]

3.옵션

옵션 설명 
-h 용량 단위(KB, MB, GB)로 표시 
사람이 읽기 쉬운 단위로 출력 
-T 파일 시스템 유형, 파티션 정보 출력 
-t 표시되는 파일 시스템 유형 지정 
-a 0 블록의 파일 시스템을 포함하여 모든 파일 시스템 출력 
-k 파일 시스템의 사용 가능한 디스크 공간과 용량을 KB 단위로 출력
-i inode 사용률 확인, 사용공간, 사용 퍼센트 출력 
반응형

댓글